
[약물치료정보]
PHARMACOTHERAPY INFORMATION
written by 송수은 B.S., edited by 김미정 M.S.

골관절염(Osteoarthritis)
Click on your interest
역학(epidemiology)미국의 25세 이상 인구 중 12%가 OA의 증상 보유자이며 약 2,100만 명이 임상적 증후 및 증상을 가지고 있다. 유병률: 연령, 성별, 유전적인 소인따라 발병률과 병발 관절부위가 다르다. 연령증가에 따른 상승: 수관절의 발병률 45세 이하(19.3%), 75-79세(85%) 성별:
50세 미만: 남성> 여성
50세 이상: 여성> 남성 (폐경 이후 estrogen의 결핍) 인종: 흑인여성: 백인여성= 2:1
위험인자연령: 25-34세: 0.1% 이하의 유병률
≥55세: 80%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여성 인종: 미주 원주민>백인
홍콩거주 중국인< 백인(고관절) 유전적 소인: Heberden's nodes의 발병률은 여성에서 남성의 10배 이상으로 나타나며 여성의 어머니가 OA환자인 경우 2배의 유병률을 나타낸다. 주관절의 외상: 전십자인대 부전증과 슬관절반월판제거술 등 주관절의 외상 후 슬개골의 OA유발 반복되는 관절사용: 직업상의 문제, 관절의 사용 유형에 의한 영향 비만: 슬관절과 수관절에 영향(체중 5 kg감량으로 슬관절의 증상적 OA의 odd ratio를 50% 낮춤) 선천성/발육상의 결함 기존의 염증성 관절질환 대사성/내분비성 장애
병태생리(pathophysiology)적절한 탄성과 압축률로 하중으로 인한 힘과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가동관절(diathroidal joint)에서 연골의 표면마찰을 감소시켜 뼈의 요철부위를 보호
2) 골관절염의 연골가동관절에서의 연골기능이 크게 손상된 상태 연골기질에 수분과 proteoglycan의 함유량이 증가되어 수화되고 비후됨→연골기질의 파열로 metalloproteinase가 분비되어 proteoglycan을 분해시켜 관절 내 치유과정 시작→proteoglycan의 분해는 chondrocyte 활성을 자극시키지만 증식 능력에 한계가 있어 연골의 수화가 진행되는 동안 proteoglycan 분해는 계속되어 연골은 마모되고 연화, 섬유성연축, 표면 궤양의 증후발현. OA가 진행됨에 따라 보호작용을 하던 연골의 파괴로 인하여 노출된 경골의 마모작용을 일으켜 연골하골의 변형초래. 파골세포/조골세포의 활성을 자극하여 골 재흡수와 혈관의 변형이 나타나기 시작 연골부재로 인하여 하중의 분산이 이루어지지 않아 미세골절과 연골하 판의 낭종(cysts in subchondral plate) 유발 관절 주변에 골절을 치유하기 위한 신생조골작용이 일어나 골증식체가 형성되어 변형과 마찰 증가 관절캡슐과 활액막의 이차적인 변형
기질의 구성물질의 분비와 골형성으로 인한 활막내의 염증 발생 및 prostaglandin 매개반응이나 연골항원에 대한 면역반응 초래증후 및 증상(signs and symptoms)
1) 통증 : 관절의 연골에는 신경이 분포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구조물의 이상(연골하골의 미세골절,
활액막염, 관절캡슐의 신장 등)으로부터 유래한다.
2) 관절강직류마티스성 관절염 환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단기간 동안 발생 기상 시 발생할 수 있으며 30분 이내에 소실된다. OA가 진행됨에 따라 회복되는 시간이 늦어진다. 날씨, 대기압에 따라 변화된다.
3) 염발음(crepitus)슬개골의 OA환자에서 운동 시 주로 발생된다. 환자가 느낄 수 있으며 소리를 듣기도 한다.
4) 관절의 증식:뼈의 증식, 활액막염과 관절캡슐의 팽윤으로 나타난다. 증식된 관절에 발열, 발적 또는 압통이 발현되면 염증의 유무를 평가해야 한다.
5) 관절 변형특히 질병이 진행되었을 때 나타난다. Heberden's node, Bouchard's node와 원위와 근위의 지절간관절의 골증식체가 주로 나타난다.
6) 임상검사상의 특이한 변화는 거의 없다.